스마트폰으로 음식 건강도 측정? 식품 앱, 유용하지만 맹신은 금물
건강한 식습관을 시작하려는 많은 사람들에게 음식 라벨 읽기는 여전히 낯설고 어렵습니다. 그래서 최근 급속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 '음식 스캐너 앱'입니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음식 포장에 있는 바코드를 찍기만 하면, 그 음식의 영양성분 점수부터 부적절한 첨가물 유무까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죠. 유명한 앱으로는 'Yuka', 'Open Food Facts', 'Bobby Approved', 그리고 'ZOE Health'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앱들을 '무조건적인 건강 기준의 절대자'로 여기기에는 아직 많은 한계가 존재합니다. 바로 같은 음식이라도 앱마다 완전히 다른 평가를 내리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이고, 우리는 이런 앱들을 어떻게 현명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의 의견과 실제 사례를 통해 꼼꼼하게 분석해보겠습니다.
식품 스캐너 앱이란 무엇인가?
음식 스캐너 앱은 사용자가 식품 바코드를 스캔하면 해당 제품의 영양 성분과 첨가물을 분석해 건강 점수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 개발된 앱인 Yuka는 0~100점의 영양 점수를 제공하고, 첨가물 유해 여부, 유기농 여부 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Open Food Facts는 전 세계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해 만든 오픈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며, Bobby Approved는 '정제 설탕'이나 '식물성 기름' 같은 특정 성분 유무를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ZOE Health는 가공 정도와 혈당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왜 앱마다 다른 결과를 보여줄까?
문제는 같은 제품을 스캔했을 때도 평가 결과가 앱마다 크게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각 앱이 사용하는 수학적 알고리즘, 데이터 출처, 기준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느 유기농 아몬드 버터 제품을 Yuka 앱으로 스캔했을 때는 100점 만점 중 78점으로 '우수' 등급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Bobby Approved 앱은 이 제품에 포함된 소량의 '케인 슈가(정제 사탕수수 설탕)' 때문에 '불합격' 판정을 내렸습니다. 영양소 자체보다는 '성분 청결성'에 초점을 맞춘 평가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하버드대 공공보건대학원의 영양학 교수 제롤드 맨드(Jerold Mande)는 "초보자들이 영양성분표를 이해하기 어려울 때 약간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도구로는 적절하다"고 말합니다. 그 역시 직접 장을 볼 때 Open Food Facts와 Yuka를 동시에 사용하는 습관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앱을 사용할 때는 비판적 사고가 필요하다"고 경고합니다. 영양사 린지 모이어(Lindsay Moyer)는 "아몬드버터에 설탕이 함유되었다고 해서 전체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음식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극단적"이라며, 전체적인 영양 가치를 중요하게 보아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똑똑하게 활용하는 4가지 팁
건강한 선택을 위해 앱을 현명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앱이 사용하는 평가 기준 확인 각 앱은 Nutri-Score 방식이나 자체 알고리즘을 토대로 점수를 매깁니다. 제품 평가의 근거가 되는 데이터 소스, 분석 대상 성분, 평가 방식의 투명성을 확인하세요.
- '1:10 섬유질 비율' 같은 단순 지표 사용 터프츠대학교 다리우쉬 모자파리안 교수는 "탄수화물 10g당 섬유질이 1g 이상 포함된 제품을 고르면 좋은 탄수화물이다"라고 설명합니다. 예: 블랙베리 1컵 = 탄수 14g / 섬유질 8g.
- 과도한 성분 경계보다는 섭취량 중요 식품에 설탕이 아주 조금 들어간 경우,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앱이 '설탕 포함'만을 근거로 낮게 평가한다면, 전체적인 건강도는 직접 판단해야 합니다.
- 가공식품보다 신선식품 우선 과일, 채소, 통곡물 등은 바코드가 없고, 대부분의 음식 앱은 이를 평가하지 못합니다. 이들이야말로 진정한 슈퍼푸드입니다!
초가공식품 피해, 단순한 대체로는 부족해
초가공식품(ultra-processed food)의 해로움은 이미 수많은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그러한 식품에는 트랜스지방, 고과당 옥수수 시럽, 인공 색소 및 향료가 포함되어 심혈관 질환, 비만,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음식 앱은 이러한 가공 정도를 평가하지 않거나 단편적으로만 반영합니다.
ZOE Health는 가공 정도까지 고려하는 소수의 앱 중 하나지만, 아직 대부분의 앱에서는 평가 요소로 자리잡지 못한 상태입니다. 이는 소비자가 자신의 식습관을 너무 단순하게 '점수화'해서 이해하기 쉽도록 한 탓입니다.
정부가 나설 차례? 공공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
전문가들은 정부 주도의 '공통 데이터베이스' 도입이 절실하다고 말합니다. 현재 미국 농무부(USDA)는 FoodData Central이라는 영양 DB를 운영 중이지만, 많은 브랜드 제품 정보는 누락되어 있습니다. 프랑스 국가 건강기구는 유럽 및 프랑스 식품에 Nutri-Score 시스템을 의무화하고 있어 정보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업계 로비나 정책적 한계로 인해 완전한 데이터 제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때문에 건강한 식습관을 위해서는 앱에 모든 판단을 맡기기보다는 스스로 식품 '탐정'이 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결론: 식품 앱은 ‘보조 도구’일 뿐, 궁극적인 선택은 내 몫
음식 스캐너 앱은 분명 유용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과도한 신뢰는 건강한 선택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제품을 직접 비교 분석하고, 영양성분표를 해독하는 공부도 필요합니다. 식습관 개선에는 다양한 훈련과 경험이 수반되어야 하며, 앱은 그러한 여정을 함께하는 보조 역할일 뿐입니다.
오늘 장을 보러 나갈 때, 앱을 활용해보는 것은 좋은 시작입니다. 그러나 마지막 선택은 항상 내 판단, 내 지식, 내 건강을 위한 결정이어야 한다는 점. 그 점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더 깊이 있는 정보를 원하신다면 다음 링크를 참고하세요:
- Open Food Facts – 전 세계 식품 정보 공유 플랫폼
- Yuka – 유럽 기준의 영양 평가 앱
- Bobby Approved – 첨가물 중심 평가 앱
- ZOE Health – 개인 맞춤 영양 분석 서비스
- USDA FoodData Central – 미국 연방 영양 정보 DB